생활정보 · 2023. 3. 21.

2023년 차상위계층 조건 및 혜택 정리

최근, 사회적 격차가 커지고 있는 시대에 복지정책은 점점 더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차상위계층 지원 제도는 기초생활 수급자와 비슷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복지 프로그램입니다. 이 글에서는 2023년 차상위계층의 조건과 다양한 혜택을 소개하겠습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에 대한 포스팅도 있으니 함께 참고하시길바랍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 살펴보기!

 

2023 차상위 계층 조건 혜택
2023 차상위 계층 조건 혜택


차상위계층이란?

 

차상위계층은 기초생활 수급자와 유사하게 중위소득 50% 이하로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복지 프로그램입니다. 차상위계층으로 분류되려면 중위소득 50% 이하의 소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고정재산이 있고 부양 가능한 가족이 있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2023년 차상위계층 조건

차상위계층의 조건은 중위소득 50% 이하의 소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고정재산이 있고 부양 가능한 가족이 있는 경우입니다. 중위소득 기준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2023 차상위 계층 조건 확인

 

  • 1인 가구: 1,038,946원
  • 2인 가구: 1,728,078원
  • 3인 가구: 2,217,408원
  • 4인 가구: 2,700,482원
  • 5인 가구: 3,165,344원
  • 6인 가구: 3,613,991원

 

차상위계층 조건을 확인하려면 소득평가액과 소득환산액을 계산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소득인정액을 산출할 수 있으며,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로 결정되어야 차상위계층 조건에 부합됩니다. 복지로 사이트에서 모의계산을 통해 대상자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3년 차상위계층 혜택

차상위계층 대상자는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요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 평생교육 이용권 발급 평생교육 이용권 발급: 평생교육 희망카드를 통해 연간 최대 35만 원 (우수이용자는 70만 원)의 교육 강좌 수강료 및 교재비를 지원합니다.

 

✅ 가사 및 간병 방문지원사업: 만 65세 미만 중위소득 70% 이하의 대상자에게 중증장애인, 희귀 난치성 질환자, 한부모가정 등의 경우 가사 및 간병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 문화누리카드 발급: 다양한 문화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연간 10만 원의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 한부모가족 양육비 지원: 한부모가족에 대한 양육비, 교육지원비, 생계비 등을 기준에 따라 지원합니다.

 

✅ 통신비 요금 감면 혜택: 월 기본 1만 1천 원의 핸드폰 통신비와 최대 21,500원의 통화료를 감면해 줍니다.

 

✅ 전기 요금 할인: 월 8,000원까지 전기료를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하절기는 1만 원 할인)

 

 

✅ 임대주택 지원: 안정적인 주택 거주를 위해 저렴한 가격에 임대주택을 제공하거나 저렴한 주택을 임대 지원합니다.

 

✅ 인공관절 수술 지원: 만 60세 이상 인공관절 치환술을 받는 환자에게 120만 원의 수술비를 지원합니다.

 

✅ 교육비 지원: 입학금, 수업료, 급식비, 우유 급식비 등을 지원합니다.

 

✅ 기타 혜택: 장애수당, 자활사업 연계, 양곡 할인, 교육복지 우선지원사업, 무료 법률 구조사업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차상위계층 지원 제도는 사회적 격차를 줄이고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복지 정책입니다. 2023년 차상위계층 조건과 혜택을 확인하고, 복지로 사이트에서 대상자 여부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JMS 필체 간판 및 JMS 교회 전국 명단 주소

📌주69시간 근무 주64시간 근무-근로시간 개편 알기쉽게 정리

📌주69시간 근무 주64시간 근무-근로시간 개편 알기쉽게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