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종종 헷갈리는 단어 중 '되요, 돼요, 되다, 돼다, 되, 돼' 라는 단어들이 대표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슷한 발음 때문에 혼동하기 쉬운 이 표현들을 함께 쉽게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왠만하면 웬만하면 올바른 맞춤법에 관한 포스팅도 있으니 함께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되'와 '돼' 차이점 및 원리
우선, '되'와 '돼'의 차이점 및 원리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되'는 '되다'라는 동사에서 파생된 어간입니다. 대부분의 동사는 어간과 어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데요.
✅ 되다: '되' + '다'
✅ 먹다: '먹' + '다'
✅ 가다: '가' + '다'
✅ 쓰다: '쓰' + '다'
하지만 '되' 자체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철수가 포스팅을 하."라는 문장은 틀린 문장입니다. 정확한 형태는 "철수가 포스팅을 하다."입니다.
한편, '돼'는 '되어'가 줄여진 형태입니다. '돼'는 어간과 어미가 결합된 완전한 형태입니다.
✅ '되'는 어간만 있는 불완전한 형태입니다.
✅ '돼'는 어간+어미의 완전한 형태입니다.
'되' vs '돼' 구분 방법
되vs돼를 구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문장 끝에는 '돼'를 사용
가장 쉽게 구분하는 방법으로 1가지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문장의 끝에서는 항상 '돼'를 사용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용언의 어간으로만 문장이 끝난다면 문법적으로 부적절한 것입니다.
✅ "밥을 먹어도 돼."
✅ "여기 앉아도 돼."
2. '되어'로 바꿔 보기
두 번째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유용하여 일상 대화에서 적용하기 더 편합니다. 먼저, 문장이 끝나는 경우에는 항상 '돼'를 사용해야 합니다. 문장이 용언의 어간으로만 끝나면 부적절한 문법적 규칙 때문입니다. 예시를 통해 확인해봅시다.
✅ "써도 되어."라는 표현을 "써도 돼."로 바꿔보면 자연스럽습니다.
✅ "해도 되어."라는 표현을 "해도 되지."로 바꿔보면 어색합니다.
그래도 아직 헷갈린다면, '되/돼' 대신 '하/해'를 사용해보세요. '되'가 올바른 지점에선 '하'가 자연스럽고, '돼'가 옳은 곳에서는 '해'가 자연스럽습니다.
✅ 학교를 가면 (되/돼)죠 > (하/해)죠
학교를 가면 '해죠' 이상하니 '하죠'가 맞습니다.
✅ 이것만 하면 안(되/돼) > 안(하/해)
이것만 하면 '안하'는 이상하니 '안해'가 맞죠. 즉, 이것만 안하면 안돼로 써야하는 것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